헌법소원심판 적법요건_용인/ 수원변호사 민사전문 법률상담


070.8098.6150

평택변호사 수원변호사 동탄변호사 천안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민사소송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소송 이혼전문변호사 부동산전문 손해배상

민사전문/ 법률상담/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 동탄변호사/ 형사/ 이혼소송/ 수원변호사/ 형사/ 이혼소송/ 광교변호사/

○ 법 제68조 제1항 본문은 "헌법상 보장괸 기본권의 침해를 받은 자"가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음.​

○ 적법요건으로서 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받은 자"는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받았다고 주장하는 자"로 해석​

○ 즉, 적법요건의 단계에서 "기본권침해의 가능성" 여부만을 판단하고 본안에서 위헌적인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로 인하여 청구인의 기본권이 침해되었는지를 판단함​○ 기본권의 침해 가능성이 부인된 사례 - 입법절차의 하자로 인하여 기본권을 침해받았다고 주장(97헌마8 등) - 헌법의 기본원리 혹은 헌법상 보장된 제도의 본질이 훼손되었다는주장(90헌마125, 96헌마186)- 종전에 누리고 있던 독점적 영업이익 상실, 반사적 이익이 실현되지 않게 된 것(99헌마660) -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신입생모집안내에 요건이 기재되어 있고, 그 요건이 입학지원서에 표시되지 아니한 것(2008헌마717)​​​

법적 관련성\_자기관련성, 현재성, 직접성

청구인의 자기관련성

○ 헌법재판소는 그 확립된 판례를 통해, 헌법소원 청구인은 원칙적으로 자신의 기본권이, 현재, 그리고 직접 침해당한 경우라야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고 함.​

○ 이와 같은 법적 관련성을 자기관련성, 현재성, 직접성으로 나누어 설명​가. 자기관련성​

○ 원칙적으로 기본권을 침해당하고 있는 자만이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음.​

○ 공권력작용이 단지 간접적, 사실적 또는 경제적인 이해관계로만 관련되어 있는 제3자, 나아가 반사적으로 불이익을 받은 자에게는 자기관련성이 인정되지 않음(91헌마233, 94헌마10, 92헌마61 등)

​○ 헌법재판소는 직접 상대방이 아닌 제3자에 대하여도, 법의 목적 및 실질적인 규율대상, 법규정에서의 제한이나 금지가 제3자에게 미치는 효과나 진지성의 정도, 규범의 직접적인 수규자에 의한 헌법소원제기의 기대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자기관련성 인정(96헌마133)​

- 사전심의의 대상이 되는 광고표현물의 제작에 참여하는 광고인들(94헌마207)​- 국외 대학에 취학한 국가유공자의 자녀의 경우 법률에서 정한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되고 그 불이익이 자녀긔 학비를 부담하는 국가유공자인 본인에게 돌아가게 되므로 국가유공자인 청구인ㅇ에 대해 자기관련성을 인정(2001헌마565)

- 학교법인이 운영하는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 학교법인에 대한 과세처분에 관하여 자기관련성이 인정되지 않음(89헌마123)​- 선거의 후보자인 청구인이 선거운동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자의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는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규정(96헌마133)​- 백화점 등의 셔틀버스운행을 금지하는 법률조항의 시행에 셔틀버스 이용자인 소비자(2001헌마132)

침해의 현재성

○ 청구인이 현재 기본권을 침해당한 경우​, 다만 기본권침해가 장래에 발생하더라도 그 침해가 틀림없을 것으로 현재 확실히 예측된다면, 기본권구제의 실효성을 위하여 침해의 현재성을 인정(92헌마68등, 95헌마108)

​○ 현재성이 인정된 사례

- 혼인을 앞둔 예비신랑, 결혼식 때 하객들에게 주류 및 음식물을 접대할 수 없다는 법률조항으로 인한 불이익(98헌마168) -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임기 중 대통령, 국회의원선거 등에의 입후보를 할 수 없도록 한 조항(98헌마214) - 법률이 일반적 효력을 발생하기 전이라도 공포되어 있고, 그로 인하여 사실상의 위험성이 이미 발생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침해의 현재성을 인정(94헌마201, 99헌마289)​​

기본권침해의 직접성

○ 직접성의 요건은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서는 특히 중요한 의미 - 법률 또는 법률조항 자체가 헌법소원의 대상이 될 수 있으려면 그 법률 또는 법률조항에 의하여 구체적인 집행행위를 기다리지 아니하고, 직접,현재, 자기의 기본권을 침해받아야 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여기서 말하는 기본권침해의 직접성이란 집행행위에 의하지 아니하고 법률 그 자체에 의하여 자유의 제한, 의무의 부과, 권리 또는 법적 지위의 박탈이 생긴 경우를 뜻함(91헌마192).​

○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 있어서 '기본권침해의 직접성'을 교우하는 이유 - 기본권의 침해를 받은 개인은 먼저 일반 쟁송의 방법으로 집행행위를 대상으로 하여 기본권침해에 대한 구제절차를 밟는 것이 헌법소원의 성격상 요청되기 때문(97헌마141)​○ 법규범에 집행행위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권리침해의 직접성이 인정되는 경우 - 집행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구제철차가 없거나 구제절차가 있다고 하더라도 권리구제의 기대가능성이 없고 다만 기본권침해를 당한 청구인에게 불필요한 우회절차를 강요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법률을 직접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음(96헌마48) 

- 법규범이 집행행위를 예정하고 있더라도 법규범의 내용이 집행행위의 이전에 이미 국민의 권리관계를 직접 변동시키거나 국민의 법적 지위를 결정적으로 정하는 것이어서 국민의 권리관계가 집행행위의 유무나 내용에 의하여 좌우될 수 없을 정도로 확정된 상태라면 그 법규범의 권리침해의 직접성이 인정됨(97헌마38)​

○ 한편 제재수단으로서 형벌 또는 행정벌 등을 부과할 것을 정한 경우에, 그 형벌이나 행정벌의 부과를 위 직접성에서 말하는 집행행위라고는 할 수 없음(97헌마194)​2) 직접성이 인정된 사례

​○ 94년 생계보호기준(94헌마33)​

○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99헌마139등)

​3) 직접성이 부인된 사례

​○ 도시계획법 제21조(개발제한구역의 지정)의 규정내용으로 볼 때 건설부장관의 개발제한구역의 지정·고시라는 별도의 집행행위에 의하여 비로소 재산권침해 여부의 문제가 발생함(89헌마46)​

○ 지역공원법 제16조(용도지구) 제1항의 규정형식상 건설부장관 등의 용도지구의 결정·고시라는 별도의 구체적인 집행행위에 의하여 기본권침해 여부의 문제가 발생(89헌마151)​

○ 의료보험법 제49조 제3항, 동법 시행령 제86조는 조합정관이 정할 보험료액의 산정기준 내지 방법에 관한 규정에 불과하고, 이 조항들에 의한 기본권 침해는 이 조항들에 따라 조합정관에서 보험료액이 정해진 다음 보험자의 보험료부과처분이라는 집행행위를 통하여 비로소 현실화(96헌마134)​

○ 피청구인인 검사의 기록 열람·등사신청에 대한 허가여부처분이라는 집행행위를 통하지 아니하고 이 사건 규칙과 지침이 직접 청구인들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볼 수 없음(97헌마101)

​○ 관세법상의 관세율표는 세관장의 관세부과처분이라는 집행행위 (96헌마166)​○ 청구인들이 주장하는 직업선택의 자유 등의 기본권의 침해는 사법시험의 선발예정인원 결정, 시험의 공고, 합격자 결정방식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사법시험령 조항들에 의하여 직접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조항들에 의거하여 선발예정인원의 결정과 공고, 합격자 결정 등의 구체적 집행행위에 의해서 발생함 (99헌마693)​4) 재량규정의 경우 ​

○ 재량규정은 재량권의 행사에 의하여 비로소 기본권 침해가 현실화되므로 재량규정의 경우 원칙적으로 직접성이 인정되지 아니함  - 교도소장이 수용자의 서신에 금지된 물품이 들어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규정에 대하여 직접성을 부정(2009헌마333), 교도소장의 재량에 따라 금지물품 확인이라는 집행행위가 있게 됨​

○ 재량규정이어도 기준을 설정하고 그 범위 안에서 재량을 인정하는 경우 기준 설정 자체가 기본권을 침해한다고 보아 직접성을 인정함 - 군법무관 수당의 상한선을 설정한 규정 자체가 청구인들의 재산권을 침해(2006헌마170)​5) 위임입법과 직접성​○ 집행행위에는 입법행위도 포함

​○ 법률규정이 그 규정의 구체화를 위하여 하위규범의 시행을 예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법률의 직접성은 부인 - 풍속영업법 제2조 제6호는 구체적 내용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그 자체로 직접 노래연습장업자의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고 있으므로 직접성의 요건이 흠결되어 부적법(94헌마213)​​​

보충성의 원칙

평택변호사 수원변호사 동탄변호사 천안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민사소송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소송 이혼전문변호사 부동산전문 손해배상

민사전문/ 부동산전문/ 손해배상전문/ 형사전문/ 광교/ 수원변호사/ 이혼/ 형사소송/ 평택변호사/ 광교변호사/ 이혼/ 형사소송/ 법률상담

○ 헌법소원은 다른 법률에 구제절차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절차를 모두 거친 후에 심판청구를 하여야 함(법 제68조 제1항 단서).​

○ 법 제68조 제1항 단서의 뜻은 헌법소원이 그 본질상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침해에 대한 예비적이고 보충적인 최후의 구제수단이라는 의미(92헌마247)​ 

○ 다른 법률에 의한 구제절차를 적법하게 거칠 것이 요구되고(98헌마265) 위 권리구제절차는 사후적,보충적 구제수단인 손해배상청구나 손실보상청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88헌마3)​

보충성과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

○ 헌법재판소는 법령 자체에 의한 직접적인 기본권침해가 문제될 때에는 그 법령 자체의 효력을 직접 다투는 것을 소송물로 하여 일반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길이 없어, 구제절차가 있는 경우가 아니므로 바로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있따는 것이 헌법재판소의 확립된 선례임.​

○ 법령에 따른 고시의 경우, 헌법재판소는 행정소송법에 의한 행정소송 등 다른 권리구제절차를 허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객관적으로 불확실하므로 보충성의 예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봄(94헌마33)​○ 한편, 대법원은 조례가 집행행위의 개입없이 그 자체로서 직접 국민의 구체적인 권리의무나 법적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법률상 효과를 발생하는 경우 그 조례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한다고 판시한 바 있고(95누8003 판결), 고시가 일반적추상적 성격을 가질 때에는 법규명령 또는 행정규칙에 해당할 것이지만, 다른 집행행위의 매개 없이 그 자체로서 직접 국민의 구체적인 권리의무나 법률관계를 규율하는 성격을 가질 때에는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음(2003무23 결정).

​보충성의 예외​

​○ 피청구인(국가안전기획부장)의 접견거부처분에 대해 청구인이 법원에 준항고 절차까지 밟아 이를 취소하는 결정이 있었음에도 피청구인이 이를 무시한 채 재차 접견거부처분(89헌마181).​

○ 권력적 사실행위는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의 대상이 된다고 단정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설사 그 대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종료된 행위로서 소의 이익이 부정될 가능성이 많아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는 외에 달리 효과적인 구제방법이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보충성의 원칙에 대한 예외에 해당(92헌마144, 2001헌마728).​

○ 공소제기 후 공판 전의 단계에서 변호인의 수사기록 열람·등사신청에 대하여 피청구인 검사가 한 거부행위(94헌마60)​ 그러나 패소할 것이 예견된다는 점만으로는 전심절차로 권리가 구제될 가능성이 거의 없어 전심절차이행의 기대가능성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음(97헌마285)​2) 법률상 구제절차가 없는 경우​

○ 공정거래위원회가 청구외 회사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하여 형사처벌을 위한 고발을 하지 아니한 행정부작위(94헌마136).

​○ 행정입법부작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96헌마246).

​○ 경찰서장이 옥외집회신고서를 반려한 행위(2007헌마712). ​​

070.8098.6150

평택변호사 수원변호사 동탄변호사 천안변호사 민사전문변호사 민사소송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소송 이혼전문변호사 부동산전문 손해배상

민사전문 부동산전문 손해배상전문 형사전문 광교 수원변호사 이혼 형사소송 평택변호사 이혼 형사소송 형사전문변호사 이혼전문변호사 동탄변호사 형사 이혼소송 수원변호사 형사 이혼소송 광교변호사 법률상담

Subscribe to 이보람 변호사_YK 평택지사장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example.com
Subscribe